티스토리 뷰
[고용보험 이직 확인서, 이직 신고] 작성 방법, 실업급여, 피보험 단위기간, 평균임금 산정 명세, 이직 전 3개월 기본급
뒤적 2021. 4. 22. 10:49자발적으로 퇴사를 했다면 실업급여 자격이 인정되지 않으나 통근 시 교통수단으로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중에 결혼, 사업장 이전 등 불가피한 사유로 출퇴근이 어려울 때에는 수급자격이 인정됩니다. 사업주는 직원이 퇴사한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이직 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업주가 어떻게 이직 신고서를 제출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고용보험 이직 확인서 작성 방법
1. 고용보험 홈페이지 → 공인인증서 로그인(공인인증서 등록하지 않았다면 등록 먼저 진행)
2. 기업 서비스 → 이직 신고 클릭
3. 이직한 직원의 주민 번호 입력 → 검색 클릭 → 성명, 주소, 전화번호, 입사일 정보가 자동 입력됨
4. 이직 코드 및 아직 사유 입력 (이직사유 안내를 참고하여 기재) → 구체적 이직사유 기재(10자 이상) → 피보험 단위기간 입력 (피보험 단위기간 은주 5일, 주 6일, 주 1일(초단), 주 2일(초단) 4가지 중에 선택 가능) → 피보험 단위기간 계산 클릭
- 이직사유는 상실신고서와 동일해야 함
- 피보험 단위기간은 180일 (퇴사일은 법적으로 마지막 근무일 다음날이 되기 때문에 1일이 추가되어 181일로 표시됨)
5. 평균임금 산정 명세 작성 방법
예) 21년 2월 28일 퇴사
월 기본급 2,000,000
이직 전 12개월간 상여금 3,000,000
이직 전 12개월간 연차수당 300,000
수당 없음 (수당이 있을 경우 기본급과 기타 수당을 구분하여 작성)
① 이직 전 3개월 기본급 2,000,000 기재
② 상여금 3,000,000*3/12 = 750,000 기재
③ 연차수당 300,000*3/12 = 75,000 기재
④ 1일 소정 근로시간 4시간 이하,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이상 중 선택 (대부분 주 40시간이라서 8시간 선택)
⑤ 저장 후 전송 클릭
5. 공인인증서가 없다면 이직확인서 서식 다운로드하여서 작성
고용보험 홈페이지 → 서식 자료실 → 이직 확인서 검색 → 서식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관할 고용노동부에 팩스로 전달
퇴직금 계산 방법 및 퇴직금 계산기
퇴직금이란 근로자들의 퇴직 후 생활을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퇴직금을 정확히 이해하고 산정하실 수 있는 근로자는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퇴직금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
si-lo.tistory.com
연차휴가 계산 쉽게하는 방법
연차휴가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근거하여 5인 이상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1년간 80% 이상 출근을 할 경우 15일의 유급휴가 발생합니다. 1년 초과하는 계속 근무자의 경우 매 2년에 한 번
si-lo.tistory.com
회사 퇴사 후 연말 정산 또는 이직 후 연말정산
중도 퇴사한 후에 연말정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가 알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퇴사 후 취업하지 않았을 경우, 퇴사 후 다른 회사에 취업했을 경우를 예로 들겠습니다. ▶ 2020
si-lo.tistory.com
'경제 정보 >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세이퍼 Msafer]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가입하기 (0) | 2023.08.26 |
---|---|
직장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10가지 (0) | 2023.04.22 |
취준생, 사회 초년생을 위한 직장인 용어 정리 (0) | 2023.04.21 |
[국민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직장가입자 4월 건강 보험료 정산] 분납, 할부납부, 계산, 내역, 정산, 산출내역서, 보험료율 (0)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