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엠세이퍼 명의도용방지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가입 제한과 해지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려고 합니다. 엠세이퍼란 무엇인가요? 엠세이퍼는 핸드폰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로, 내 명의로 통신사 가입이 제한되면 새 핸드폰 개통이 불가능해지는 서비스입니다. 가입 제한 및 해지 방법 1. 홈페이지 접속: 엠세이퍼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https://www.msafer.or.kr/index.do 2. 가입 제한 서비스 클릭: 홈페이지 메뉴에서 '가입 제한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3. 공인인증서 로그인: 가입 제한 서비스 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합니다.(전체 약관 동의) 4. 가입 제한 : 가입제한을 해제한 이동통신사 -> 전체 선택 -> 가입제한 클릭 5. 가입 제한 해지: 가입..
오늘은 직장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10가지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F/U (Follow-up) - 뜻: 후속조치, 지속적으로 챙기다 예시: 이메일이나 회의에서 상대방의 의견이나 요청사항에 대해 F/U를 하라는 경우가 있습니다. 2. FYI (For Your Information) - 뜻: 참고바람 예시: 메일이나 문서를 보낼 때, FYI로 표시하여 참고용으로만 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3.FYA (For Your Action) - 뜻: 행동지시 예시: 문서나 이메일에서 FYA로 표시하여 상대방에게 행동을 취하도록 지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4.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 뜻: 기업이 목표달성을 위해 관리하는 핵심성과지표 예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오늘은 직장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용어 중에서 "ASAP(아삽) (As Soon As Possible)"과 "BP (Best Practic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용어인 ASAP(아삽)은 "As Soon As Possible"의 약어로, 최대한 빨리 또는 즉시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용어는 업무상 긴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업무나 요청에 대해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에 요청 기한을 기재할 때 ASAP이라고 적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번째 용어인 BP는 "Best Practice"의 약어로, 우수 사례나 모범 사례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업무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거나, 이미 검증된 좋은 방법을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비즈니스 분야에서는 물론,..

자발적으로 퇴사를 했다면 실업급여 자격이 인정되지 않으나 통근 시 교통수단으로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중에 결혼, 사업장 이전 등 불가피한 사유로 출퇴근이 어려울 때에는 수급자격이 인정됩니다. 사업주는 직원이 퇴사한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이직 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업주가 어떻게 이직 신고서를 제출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고용보험 이직 확인서 작성 방법 1. 고용보험 홈페이지 → 공인인증서 로그인(공인인증서 등록하지 않았다면 등록 먼저 진행) 2. 기업 서비스 → 이직 신고 클릭 3. 이직한 직원의 주민 번호 입력 → 검색 클릭 → 성명, 주소, 전화번호, 입사일 정보가 자동 입력됨 4. 이직 코드 및 아직 사유 입력 (이직사유 안내를 참고하여 기재) → 구체적 이직사유 ..

국민건강보험은 국민건강보험법에 근거하여 국민들에게 보험료를 거두어들이고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진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국민 건강보험은 강제보험으로 국민 모두 가입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건강보험은 크게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는 상시 1인 이상의 근로자 있는 경우 가입 대상입니다. 근로자가 없는 사업장이나 소재지가 일정하지 않은 사업장 등은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경우 매년 4월에 연말정산을 진행합니다. 직장가입자 건강 보험료 연말정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자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1. 국민건강보험료율 (2021년 기준) 구분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