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손쉽게 연말정산 자동 계산하는 방법은?
연말정산이란 미리 거둬들인 근로소득세를 연말에 정산하여 실소득보다 많이
세금을 냈다면 돌려주고 적게 납부했다면 추가로 징수하는 철자입니다.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하실 때에는 혜택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꼼꼼히 준비해서 진행하면 좋겠습니다.
그럼 집에서 간편하게 연말정산에서 예상 세액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버에서 연말정산 간소화라고 검색하시면 국세청 홈텍스 사이트가 나옵니다.
https://www.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xml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홈텍스 사이트에 연말정산 간소화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01번 공동 인증서 로그인하기
- 공동인증서 로그인은 금융인증서 금융결제원(구 공인인증기관)을 말합니다.
순서 : 공동인증서 로그인 클릭 -> 인증서 선택창에서 인증서 선택-> 비번입력-> 로그인 완료
- 간편인증 로그인은 카카오, 한국정보인증, KB국민은행등 민간전자서명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순서 : 간편인증 로그인 클릭 -> 카카오, 한국정보인 등 이용하고자하는 민간전자서명 선택
->전자서명인증(비밀번호 확인) -> 로그인 완료
간편한 로그인 방법으로 선택하여 로그인 합니다.
부양가족이 있다면 02번 자료제공 동의 신청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조회를 진행
순서
홈텍스 사이트-> 연말정산 간소화 클릭-> 01 인증서 로그인 -> 자료 공제 동의신청(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조회
연말정산간소화 자료 조회로 들어오시면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 각 항복이 보입니다.
각 항목을 모두 선택하여 조회합니다.
빨간색 표시 부분을 모두 클릭
각 항목은 근로자가 스스로 공제 요건 충족 여부를 확인해합니다.
확인이 끝났다면 예상세액 계산 클릭합니다.
순서
간소화 자료에서 소득세액 공제 자료 확인 -> 예상세액 계산을 클릭-> 선택한 소득 세액공제 항목을 확인한 후 예상세액 계산을 클릭
좀 전에 조회했던 항목을 확인한 후 예상세액 계산을 클릭합니다.
근무처 급여정보 선택에서 본인 회사를 선택합니다.
이 자료는 회사에서 총급여, 기납부세액 등의 기초 자료를 등록해준 경우 가능합니다.
순서
회사 선택 -> 반영하기 -> 공제 신고서 불러오기-> 차감징수 납부 예상 세액을 확인
7번 차감징수 납부 세액의 금액을 확인합니다.
예) 예상세액 금액이 70,000원 (연말정산 추가 납부)
예) 예상세액 금액이 -70,000원 (연말정산 환급금)
만약 회사에서 급여정보를 입력해 주지 않았다면 본인이 총급여, 소득세 기납부세액을 기재하여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순서
총급여 기납부세액 수정 클릭 -> 총급여 금액 입력 -> 소득세 기납부세액 입력
(금액은 급여 명세서 1월 ~ 12월까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2월 말까지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위와 같이 진행하시면 손쉽게 연말정산 자동 계산으로 예상 세액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홈페이지 접속 (0) | 2021.02.05 |
---|---|
층간 소음 귀덮개도 해보고 분쟁조정위원회 문의도 해보고 (0) | 2021.02.05 |
2020년 연말정산 인적공제 나이는? (0) | 2021.02.04 |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0) | 2021.02.03 |
레노버 노트북 아이디어패드 사용 후기 소음 문제? (1) | 2021.01.30 |